이번 게시한 글에서는 Git을 설치하고 GitHub에 Repository를 생성하여 프로젝트를 연동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정해보겠습니다.
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GitHub 계정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.
우선 GitHub에 프로젝트와 연동시킬 새 Repository를 생성하겠습니다.
Repository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면 GitHub에 연동할 프로젝트 폴더의 workspace 로 이동하여 마우스 우클릭을 한 뒤, 'Git Bash Here'을 클릭하여 Git에 접속합니다.
이후 아래의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입력해줍니다.
git init
git add .
git commit -m "환경세팅 완료"
git remote add origin [your-repository-url]
git push origin master
여기에서 본인의 Repository의 경로는 GitHub에서 오른쪽 위의 Code를 확인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위 과정을 수행한 뒤, Repository를 새로고침하면 정상적으로 파일들이 올라 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'개발 >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프링부트 게시판] 5. Lombok 세팅 (0) | 2023.01.15 |
---|---|
[스프링부트 게시판] 4. Http 요청 (2) | 2023.01.15 |
[스프링부트 게시판] 2. MySQL 설정 (0) | 2023.01.13 |
[스프링부트 게시판] 1. 의존성 설정 (0) | 2023.01.12 |
[스프링부트 게시판] 0. 복습을 위한 게시판 프로젝트 (0) | 2023.01.11 |